1.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의미
매년 가을과 겨울철이 되면 찾아오는 대표적인 감염병이 바로 인플루엔자(독감)입니다.
일반 감기와 달리 인플루엔자는 갑작스러운 고열, 근육통, 전신 피로감, 기침을 동반하며, 특히 노약자·임신부·어린이와 같은 고위험군에서는 폐렴, 중이염, 뇌염 등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질병관리청은 매년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을 운영해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무료 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5-2026 절기에도 어린이, 어르신, 임신부를 대상으로 전국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에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개인의 건강을 지키는 동시에 집단 감염을 차단해 사회 전체의 건강 안전망을 강화하는 국가 보건정책입니다.
2. 어린이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
어린이는 면역 체계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인플루엔자 감염 시 합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5세 이하,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일수록 위험성이 커집니다.
✅ 지원 대상:
-
생후 6개월 ~ 만 13세
-
(출생일: 2012.1.1. ~ 2025.8.31.)
-
주민등록상 생년월일과 실제 생년월일이 다르면 실제 생년월일 기준
-
✅ 접종 기간:
-
2회 접종 대상: 2025.9.22 ~ 2026.4.30
-
1회 접종 대상: 2025.9.29 ~ 2026.4.30
-
✅ 접종 기관: 전국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
✅ 접종 기준:
-
1회 접종: 이전 절기까지 2회 이상 접종 기록이 있는 경우
-
2회 접종:
-
처음 인플루엔자 접종을 하는 경우
-
이전 접종력을 알 수 없는 경우
-
2025년 6월 30일까지 총 1회만 접종한 경우
-
-
👉 포인트: 아이가 몇 차례 접종했는지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록을 모르면 의료진과 상담 후 2회 접종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3. 어르신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
65세 이상 어르신은 인플루엔자 감염 시 합병증 발생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실제로 독감으로 인한 폐렴과 심혈관계 합병증은 어르신에게 치명적입니다.
✅ 지원 대상: 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만 65세 이상)
✅ 접종 기간:
-
(1구간) 75세 이상: 2025.10.15 ~ 2026.4.30
-
(2구간) 70~74세: 2025.10.20 ~ 2026.4.30
-
(3구간) 65~69세: 2025.10.22 ~ 2026.4.30
-
※ 연령별 구간 운영 이유는 접종 초기 혼잡을 완화하기 위함입니다.
✅ 접종 백신: 불활성화 백신(0.5㎖) 매년 1회 접종
✅ 접종 기관: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 어르신은 매년 접종력이 있더라도 반드시 다시 맞아야 합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유행주가 달라지기 때문에 매 시즌 새로운 백신 접종이 필수입니다.
4. 임신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
임신부는 인플루엔자 감염 시 폐렴, 조산, 태아 발육 지연 등 위험이 높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예방접종이 권장됩니다.
✅ 지원 대상: 모든 임신부 (임신 주수 제한 없음)
-
증빙서류: 산모수첩, 임신확인서 등
-
✅ 접종 기간: 2025.9.29 ~ 2026.4.30
✅ 접종 백신: 불활성화 백신(0.5㎖) 매년 1회
✅ 접종 기관: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 임신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이미 받아왔으며, 유산·조산과의 연관성이 매우 낮다는 연구가 다수 발표되었습니다. WHO를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는 임신부에게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을 권장합니다.
5. 접종 절차 및 유의사항
-
접종 기관 확인: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위탁의료기관 확인
-
방문 전 준비: 보호자 동반, 마스크 착용, 접종 가능 여부 사전 문의
-
예진 과정: 아이, 어르신, 임신부 모두 접종 전 의사 예진 필수
-
접종 후 관찰: 최소 20분간 병원에서 머물며 이상반응 여부 확인
-
이상반응 관리: 접종 부위 통증, 미열, 피로는 흔하지만 호흡곤란, 고열, 발진은 즉시 병원 내원 필요
6.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효과
📍 개인 건강 보호: 고위험군에서 폐렴, 중이염, 심혈관 합병증 발생률 감소
📍 태아 보호: 임신부 접종 시 태아도 항체 보호 효과
📍 사회적 효과: 집단 감염 차단 및 병원·학교 등에서의 유행 억제
📍 경제적 효과: 치료·입원비 절감, 노동 손실 감소
👉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과 동시 유행 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더욱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매년 꼭 맞아야 하나요?
A. 네. 매년 유행하는 바이러스 유형이 달라지므로 매 시즌 새 백신으로 접종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Q2. 아이가 작년에 독감을 맞았는데 올해도 2번 맞아야 하나요?
A. 9세 미만의 경우 이전 접종 횟수에 따라 다릅니다. 2회 이상 접종 이력이 있으면 1회만 맞으면 됩니다.
Q3. 어르신 접종은 왜 연령별 구간을 두나요?
A. 초기 혼잡과 백신 수급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연령대별 순차적 접종을 시행합니다.
Q4. 임신부인데 초기인데 맞아도 되나요?
A. 네.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접종 가능합니다. 오히려 초기에 접종할수록 태아 보호 효과가 더 일찍 나타납니다.
Q5. 접종 후 열이 나면 어떻게 하나요?
A. 가벼운 미열은 흔한 반응으로 대개 자연 회복됩니다. 하지만 고열이나 호흡곤란, 전신 발진 등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세요.
0 댓글